.Net Core Blazor

Blazor 란?Microsoft가 2018년 2월에 발표한 Blazor는 C#과 Razor(ASP.NET에서 사용하는 뷰 엔진), HTML을 사용해 웹 UI를 만들 수 있는 .NET 웹 프레임워크 기술 집합 이다. Blazor 종류 Blazor WebAssembly CSR (Client Side Rendering) 방식 Blazor Server SS

DevOps > Github 커넥터 연동

파이프라인 커넥터 레파지토리 연동1. 커넥터를 통한 GitHub Enterprise Server 레파지토리 연동 Pipelines > [New pipeline] 버튼 클릭 > 레파지토리 설정에서 Personal access token 생성 후 연동 2. CI/CD 파이프라인 플로우 빌드 때 별도 서버에서 빌드 함.

DevOps CI 단계 Import Component NotFound 에러

[DevOps] SPA 빌드 시 import 컴포넌트 not found 에러에러: 자동화 파이프라인을 통해 빌드 CI 스크립트 npm 빌드 시 ##[error]Bash exited with code ‘1’. 에러가 발생함. azure-pipelines.yml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

JWT Token Flow

[SPA] JWT Token Flow JWT의 구체적인 구현 방법에 대해서는 정해진 정답이란 정석은 없다.AccessToken이나 RefreshToken 의 만료 기간이라든가, refresh 할 때 AccessToken을 같이 보낼 것인지 정보를 재사용할것인지, RefreshToken의 payload에 무엇을 담아야 하는지.. 등등.. 서비스에 따라 구현하

WebAssembly (웹 어셈블리)

WebAssemblyWebAssembly(WASM)는 최신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할 수 있는 새로운 유형의 코드이며, 새로운 기능과 성능 면에서 큰 이점을 제공한다. 직접코드를 작성하는 것이 아니라 C, C ++, RUST 등의 저급 소스 언어를 효과적으로 컴파일하도록 고안되었다. 이전에 불가능했던 웹에서 실행되는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웹에서

React.js Storybook Typescript Design System Utilization

Storybook을 활용하여 본격적으로 디자인 시스템 구축하기 스토리북을 쓰는 방법을 어느정도 배웠으니, 이제 Hello 컴포넌트 말고 정말 디자인 시스템에 있어서 유의미한 컴포넌트들을 만들어봅시다. 그런데, 어떤 컴포넌트를 만들어야 할까요? 사실 가장 이상적인것은 프로젝트를 만드는 과정에서 처음부터 디자인 시스템을 구축하고 재사용이 자주 될 것 같은 컴포

React.js Storybook Typescript Component Props

Storybook 프로젝트에서 TypeScript로 컴포넌트의 props 문서화 편하게 하기TypeScript 를 사용하면 JavaScript의 불편함을 해결해줄 수 있고, IDE를 더욱 적극적으로 활용 할 수 있게 해줍니다. 특히, 리액트 컴포넌트를 TypeScript 로 작성하면, PropTypes 를 완전히 대체 할 수 있고 훨씬 유용하고 편합니다.

React.js Storybook Addon

Storybook을 다양한 Addon과 함께 활용해보면서 사용법 정복하기 storybook addon actions addon knobs addon docs 2. 스토리북, 시작하기.Storybook을 사용할 때 create-react-app으로 만든 프로젝트에서 Storybook 설정을 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아예 새로운 Storybook 전용 프로젝트

React.js Storybook Typescript Design System

TypeScript와 Storybook을 사용한 리액트 디자인 시스템 구축하기이 튜토리얼은 TypeScript와 Storybook을 사용하여 리액트 디자인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법을 다룹니다. 이 문서를 통하여 여러분들은 다음과 같은 주제들을 배우게 됩니다. 디자인 시스템 이해하기 Storybook의 주요 기능 살펴보기 및 컴포넌트 문서화하기 디자인 시스템